소방전기

감지기 회로 교차회로방식 설치목적, 기준

한소방 2024. 12. 16. 08:30

한소방입니다.

감지기 회로의 교차회로방식, 많이 들어는 보셨지만, 그것에 대한 정확한 내용이나, 개요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교차회로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차회로방식이란?

화재감지기가 2개 이상의 회로가 작동하였을 때에 화재발생을 인식하여 설비가 작동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1회로 작동 시에는 소방시설이 작동을 하지 않고, 경고음 즉 경종만 울리게 되며, 2개의 회로가 동시에 작동을 했을 시에 소방시설이 작동되는 시스템이다. 회로연결은 X선 방식으로 하여, 이를 교차회로라고 부른다.

교차회로는 2회로 작동방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2회로 이상의 작동방식을 교차회로방식이라고 한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ok1659/223135838371

이러한 교차회로방식으로 설치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교차회로 설치목적

교차회로를 설치하는 목적은 화재발생에 대한 감시시설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감지기의 오작동에 대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것이다.

2개 회로 이상이 모두 작동이 되었을 때에는 화재발생의 신뢰성이 더 있다는 판단에서 설비를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감지기가 1개가 오작동으로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너무나 큰 관리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안전하게 교차회로 작동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화재발생으로 신속히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작동이 되어야 하지만, 설비의 작동에는 조금 늦을 수 있어도 작동의 신뢰성에 더 큰 비중을 두는 작동방식이다. 교차회로방식의 설치에 대한 장점은 작동의 신뢰성은 있지만, 단점은 소방시설이 작동이 늦어져 신속한 화재 소화에는 불리한 부분이 있다.

교차회로를 해야 하는 소방시설

교차회로를 해야하는 소방시설은 소화시설이 작동되었을 때 큰 문제가 생기는곳, 즉 감지기의 신뢰성을 더 높에 가져가야 하는 소방시설에 들어가게 된다.

  1.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2.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4. 할론소화설비
  5.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6. 포워터 스프링클러설비(감지기 기동방식)
  7. 포헤드 설비(감지기 기동방식)
  8. 분말소화설비
  9. 물분무소화설비
  10.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11. 미분무소화설비
  12.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13. 가스식, 분말식, 고체에어로졸식 자동소화장치

이렇게 소화시설이 작동되었을때 되돌릴 수 없는 설비들이 교차회로방식으로 감지기 결선방식을 선택한다.

교차회로 기준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작동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1. 담당구역 내의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개방 및 작동될 것,

2. 화재감지기 회로는 교차회로방식으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 또는 헤드에 누설경보용 물 또는 압축공기가 채워지거나 부압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경우

 나. 화재감지기를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의 단서의 각 감지기로 설치할 때

 다.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인근에서 수동기동에 따라서도 개방 및 작동될 수 있도록 할 것(솔레노이드밸브, 및 배수밸브)


이는 배관 또는 헤드에 누설경보용 물 또는 압축공기가 채워지거나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의 인식을 감지기와 배관의 공기누설을 함께하므로 화재가 아닌 오작동의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감지기를 교차회로를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모든 감지기를 교차회로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다. 작동의 신뢰성이 높은 감지기(불꽃감지기,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분포형감지기, 복합형감지기, 광전식분리형감지기, 아날로그방식의감지기, 다신호방식감지기, 축적방식의감지기 등 )은 교차회로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리고 교차회로로 설치하는 감지기 및 수신기는 비축적형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교차회로의 작동으로 인하여 작동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면서 축척형 감지기의 작동 또는 축척기능의 수신기에 대한 작동의 지연은 이중으로 작동이 지연 또는 시설이 작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교차회로 방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문의는 한소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