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점검

소방 화재 수신기 점검 방법 (P형수신기)

한소방 2025. 3. 13. 16:52

한소방입니다.

소방 수신기의 종류는 2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P형 수신기 점검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화재표시 동작시험

1. 시험목적

감지기, 발신기가 작동되어 수신기에서 신호를 받았을 때에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지의 수신기 작동시험이다. 현장의 감지기나 발신기등 시스템 전체의 동작시험은 아니다.

2. 시험방법

  1. 연동정지를 한다(소화설비, 비상방송설비 등의 연동스위치를 연동정지로 한다) 이유는 설비가 작동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2. 축적, 비축적 절환스위치를 비축적 위치로 전환한다. 이유는 축척기능을 해제해야지 빠르게 작동한다.
  3. 수신기 동작시험버튼과 자동복구버튼을 누른다. 자동복구스위치를 누르는이유는 회로마다 동작시험을 하고 자동으로 복구되면 다음회로를 시험하는 편리성으로 한다
  4. 회로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누름) 시켜 각 회로마다 동작 시험을한다.

3. 확인내용

  1. 각 회로의 릴레이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2.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음향장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4. 복구

  1. 회로시험을 마친후 회로선택 스위치를 원래의 위치로 돌린다.
  2. 복구버튼을 눌러 작동하고 있는 벨소리와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의 등을 소등한다.
  3. 시험 끝난후 동작시험 버튼과 자동복구버튼을 한번 더 눌러 원래의 위치로 복구한다.
  4. 연동정지스위치를 연동으로 전환하고, 축척, 비축적 절환스위치를 축적위치로 전환한다.

2. 회로도통시험

1. 시험목적

수신기에서 감지기 회로선이 이상이 있는지 호가인하는 시험이다. (감지기선이 끊어졌는지 또는 합선이 되었는지의 회선의 점검시험이다.)

2. 시험방법

  1. 도통시험버튼을 누른다(또는 스위치를 도통시험 위치에 놓는다)
  2. 회로선택스위치를 1회로부터 차례대로 회전하면서 각 회로마다 시험을 한다.

3. 확인 내용

  1. 전압계의 지시침을 확인한다.(시험하는 회로마다 아래의 내용을 확인한다)
  2. 전압계의 지시침이 2~6V를 지시하면 정상이다.
  3. 전압계의 지시침이 0V 를 지시하면 단선이다
  4. 전압계의 지시침이 2V 이하를 지시하면 그 회로의 종단저항 저항값이 너무 큰 것이다.
  5. 전압계의 지시침이 단락위치를 지시하면 감지기선이 합선이다 이때는 화재경보상태가 된다.

수신기에 전압계가 없고 도통시험 확인등이 있는 수신기는 정상, 단선램프 점등을 확인한다

4. 복구

  1. 도통시험버튼을 한번더 눌러 원래 상태로 복구한다.
  2. 도통시험이 끝나면 회로선택스위치를 0의 위치로 돌린다.

이것은 옛날 수신기의 기준이고 요즘 생산되는 수신기는 도통상태가 평소에 이상이 있는 회로는 자동으로 등이 켜지는 자동시험기능이 있는 수신기가 있다.

 


3. 감지기 작동시험

1. 시험목적

감지기가 열이나 연기의 발생에 의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방법이다.

2. 시험방법

  1. 열 또는 연기감지기 시험기로 감지기에 작동시험을 하낟.
  2. 감지기회로 전압을 전압측정기로 즉처아여 전압이 19V 이상인지 확인한다.

3. 확인 내용

  1. 감지기 작동램프(감지기 작동 LED램프)가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2. 감지기 작동으로 수신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화재표시동, 지구경종, 주경정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4. 복구

수신기에 복구버튼을 눌러 작동한 감지기회로를 복구한다.


4. 예비전원시험

예비전원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1. 시험방법

예비전원스위치를 누른다.

2. 확인내용

전압계의 지시침이 정상의 범위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정상전압은 24V이며 지시침이 녹색범위(약 19~27V)를 지시하면 정상이다

예비전원감시표시등이 점멸되어 있을 경우에는 현재 예비전원이 문제가 있다는 표시이다. 구체적인 고장원인의 확인방법은 예비전원스위치를 눌러 상용전원을 차단하고, 예비전원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24V가 공급되는지 확인한다.

전압계가 20V이하로 나타나면 예비전원(축전지)에 충전이 안되는 상태로서

축전이와 충전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잘 연결되어 있는지 연결잭 을 확인한다. 연결부분에 이상이 없으면 예비전원의 수명이 다하거나 충전장치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다.

예비전원의 전압을 측정하여 이상없는지를 확인하고 측정한 값이 20V 이하이면 예비전원의 수명이나 충전장치의 문제가있다고 판단할수 있다.

충전장치 전압을 측정항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측정한 값이 20V 이하이면 충전장치에 이상이 있는것이다.

3. 복구

에비전원시험 스위치를 눌러 원래상태로 복구한다.


5. 상용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자동전환상태 점검

상용전원이 정전되면 자동을 예비전원으로 전환 되는지 전환상태의 기능을 점검한다.

1. 시험방법

  1. 교류전원 스위치를 끄면 예비전원으로 자동전환이 되는지 점검한다
  2. 교류전원 스위치를 복구 하면 에비전원에서 교류전원으로 복구가 되는지를 확인한다.

스위치가 자동전환 되는지를 확인하고

예비전원으로 전환한 스위치를 상용전원으로 전환한다.


다음글에서 마저 점검방법 올리겠습니다.

문의는 한소방

'소방점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화재 수신기 점검방법 (P형수신기) 2탄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