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소방입니다.
오늘은 소방전기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할 ,정전계(Electric Field)’와 ‘콘덴서(축전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소방전기설비에서는 감지기, 수신기, 배선 등의 전기적 특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기적인 기본 원리를 이해하면 시공, 유지보수, 고장 분석 시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1. 정전계(Electrostatic Field)란?
정전계란 정지된 전하에 의해 생기는 전기장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움직이지 않는 전하가 주변 공간에 미치는 전기적인 영향입니다.
예시로 이해하기
- 마찰로 인해 플라스틱 자에 정전기가 생겼다고 해봅시다.
- 이 자를 종이조각 근처에 가져가면 종이가 자를 따라 움직입니다.
- 이건 자 주변에 정전계가 형성되어, 종이에 전기적 힘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소방과의 연관성
- 정전계는 정전기로 발전되기도 하며, 정전기는 전자기기 오작동의 원인이 됩니다.
- 감지기 오동작 혹은 수신기 오작동 문제도 정전기 영향일 수 있어, 접지공사와 차폐설계가 중요합니다.
콘덴서(Condensor, Capacitor)란?
콘덴서는 전기를 저장하는 부품입니다. 두 개의 도체판 사이에 유전체(절연체)**를 넣은 구조이며,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습니다.
작동 원리
- 콘덴서에 전압이 인가되면, 한쪽 도체판에는 (+), 반대쪽에는 (-) 전하가 모입니다.
- 이 상태를 전하 저장 상태, 즉 충전 상태라 합니다.
- 필요할 때 이 저장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류를 공급합니다.
쉽게 이해하기
- 콘덴서는 전기의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합니다.
- 순간적으로 많은 전류가 필요할 때, 저장된 전기를 빠르게 방출해줍니다.
콘덴서의 소방전기 활용 예
- 감지기 회로 안정화
- 노이즈(잡음) 제거, 신호 필터링
- 비상전원 공급 회로
- 순간 정전 시 회로 보호
- 서지 보호회로
- 낙뢰 등 외부 충격 시 회로 안정화
소방에서 사용하는 정전계와 콘덴서
- 콘덴서는 *극성이 있는 타입(전해콘덴서)과 *극성이 없는 타입(세라믹콘덴서)이 있습니다.
- 회로에 따라 맞는 부품을 선택해야 감지기, 수신기 등이 정상 작동합니다.
- 설치 시 극성 확인을 꼭 해야 하며, 수신기 정전 후 초기화 문제가 발생한다면 콘덴서 불량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정전계와 콘덴서는 단순한 이론처럼 보이지만, 실제 소방전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의 핵심 개념입니다.
이해가 어렵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전기장을 기압이나 자석처럼 '영향을 주는 무언가' 라고 생각해보세요.
앞으로도 한소방은 소방공사 현장 중심의 전기 기초 지식을 계속 전달해드릴 예정입니다.
한소방은 소방공사업체로서 점검은 진행하지 않으며, 필요 시 점검 전문 협력업체를 안내해드리고 있습니다.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
문의는 한소방
'소방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류회로 기본회로에 대한 이해 (0) | 2025.05.09 |
---|---|
정자계와 전자유도 개념정리 (0) | 2025.05.09 |
비상조명등 설치장소,설치제외장소, 설치기준 (2) | 2025.04.24 |
자동화재 탐지설비 구성요소 (1) | 2025.01.16 |
자동화재 탐지설비 설치장소 (1)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