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원론

화재의 진행순서 초기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

한소방 2024. 5. 9. 14:41

 

화재에는 발생하는 연기, 온도 등에 따라서

초기,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 등으로 나뉜다.

 

화재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부력 및 팽창력이 발생하므로, 실내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연료지배형에서 환기지배형의 형태가 되고 환기량이 점차 부족하게 되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양은 증가하고, 연소생성물은 증가하게 된다.

 

그럼 화재의 진행 순서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화재 초기

 

화재초기는 화재의 원인으로부터 무염착화, 발염착화에 이어 축화의 과정을 거친다.

 

2. 성장기

화재가 본격적으로 커지는 시발점으로 공기의 유동에 따라 화재가 급격하게 커지며 실 전체로의 연소확대가 되는데 이때를 플래쉬 오버라고 한다.

 

3. 플레쉬오버

화재실 내 가연물의 전 표면이 불로 덮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국부적인 화재에서 실 전체로의 폭발적인 화재 확대를 의미한다.

현상

  1. 화염이 창밖으로 돌출
  2. 연료지배형 화재에서 환기지배형 화재로의 전이 및 최성기로의 전이를 의미
  3. 실내온도가 400~600도로 가연성 가스가 충만할 때 발생
  4. 복사수열량이 20kw/㎡ 이상, 연소속도 40g/s 이상

영향요소

  1. 개구율 : 창문 및 개구부의 크기(산소의 공급)
  2. 실내의 전표면적 (표면적이 클수록 폭발이 크다)
  3. 내장재료의 종류
  4. 화원의 크기

4. 최성기

플래쉬오버를 기점으로 하여 최성기를 거치게 된다.

 

5. 감쇠기

최설기를 지나 연소 낙화하는 시점을 말한다.

 


 

이렇게 화재에는 5가지 현상이 있고

초기 화재진압을 위해서는

꼭 소방 스프링클러나, 감지기가 작동을 하여 초기 진압을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