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의 종류 (pre-action Sprinkler System)

한소방 2024. 12. 11. 23:55

한소방입니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는 펌프로부터 프리액션밸브 1차 측까지는 배관 안에 물이 들어있다가 화재경보가 울리면 닫혀있던 프리액션밸브가 열리면서 배관안에 물이 2차 측 빈 배관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는 방식의 스프링클러 형식이다.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더블인터록 방식이나, 외국에서는 준비작동식 방식이 3가지 정도 나뉜다.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우리나라는 더블인터록 방식이며, 2가지 다른 방식이 더 있다.

싱글인터록 방식

하나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신기에서 화재의 신호를 받으면 프리액션밸브에 알람신호가 전달되어 칸막이가 열리며, 2차측 배관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 방식은 화재 감지 방식에 따라 2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1. 첫 번째 방식은 화재감지기를 사용하는 방식
  2. 두 번째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감지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화재안전기준에서는 화재의 감지를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하지 않고 있으며, 물분무소화설비와 포소화설비에서는 정하고 있다. 국내의 설비는 2차 측 배관에 공기가 들어가있는 상태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방식과는 다른방법으로서 2차측 배관에 낮은 압력의 공기나 질소를 채워 배관의 균열 또는 헤드의 빠짐 등의 원인으로 배관의 압력이 샐 경우 배관 안의 압력의 감소를 즉시 확인하여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경보시스템을 설치하는 방식도 있다.

더블인터록 방식

우리나라에서 쓰는 방식으로 감지기와 헤드의 작동이 모두 이루어져야 밸브가 열리는 설비로서 2가지 종류가 있다.

  1. 감지가의 작동과 화재감지기용 헤드가 열리는 방식(헤드보다 더 빨리 작동하는 작동용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2. 감지기의 작동과 헤드가 열리는 방식(2차 측 배관에 부압의 공기를 넣어 헤드가 개방되면 작동)

논 인터록 방식

화재감지기 또는 작동용 헤드 중 어느 하나가 작동이 되면 프리액션밸브가 열리는 방식이다. 이 설비의 작점은 작동의 ㅅ니뢰성에서는 우수하다, 즉 감지기가 고장이 나도 화재의 열에 의해 헤드가 열리면 프리액션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그 반면에 오작동의 우려가 큰 것이 단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더블인터록 감지기 교차회로 방식의 설정으로 2개의 감지기가 울리면 프리액션 밸브의 2차 측이 개방되어 열리는 방식이다.

문의는 한소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