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계

제연설비 종류 분류, 거실제연설비, 기계제연설비

한소방 2023. 12. 8. 12:02

제연설비는 소화활동설비중의 한가지로, 화재발생 시 화재발생장소의 연기를 거실 또는 통로에서 배출시키고 거실의 하부나 인접실에서 신선한 공기를 공금하여 청정공간을 유지해 피난 및 소화활동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설비 이다

 

거실 제연설비

1. 제연방식의 분류

(1) 자연재연방식

 

자연재연방식

개구부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연기를 배출하는 방식(연기의 부력 이용)

(2) 스모크 타워 제연방식

고층건축물에 주로 사용하는 제연방식으로서 굴뚝효과(연돌효과)를 이용하여 창살 또는 유리창이 달린 지붕 위의 원형구조물인 루프모니터를 설치하여 제연하는 방식

  1. 고층빌딩에 적합하다.
  2. 일반적으로 거실화재에 이용된다.
  3. 굴뚝효과(연돌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3) 기계제연방식

1. 제 1종 기계제연방식 

송풍기와 배연기를 설치하여 급기 및 배기를 하는 방식

2. 제 2종 기계제연방식

송풍기만 설치하여 급기 및 배기를 한ㄴ 방식

3. 제 3종 기계제연방식

배연기만 설치하여 급기 및 배기를 하는 방식

 

 

2. 제연구역의 구획

  1.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m2 이내로 하여야 한다.
  2.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 하여야 한다.
  3.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 를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4.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 내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5.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과 별도로 제연구획하여야 한다.

 

3. 제연구역의 구획 기준

  1. 재질은 내화재료, 불연재료 또는 제연경계벽으로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서 화재 시 쉽게 변형, 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 있는 재료로할 것
  2. 제연경계는 제연경계의 폭이 0.6m 이상이고, 수직거리는 2m 이내이어야 할 것,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2m를 초과할 수 있다.
  3. 제연경계벽은 배연 시 기류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하여야 하며, 또한 기동식의 경우에는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일 것

4. 배출량 및 배출방식

(1) 통로일 경우

45,000m2/hr 이상일 것

(2)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m2 미만일 경우 (최저 5,000m3/h 이상일것)

배출량= 바닥면적 *1m3/min*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