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소방공사 42

화재 초기진압방법 옥내소화전 사용방법

옥내소화전 사용법소화전은 화재발생시 소방관이 출동하기 전에 화재 초기단계에서 사용하면, 정말 큰 효과를 볼수있는 설비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옥내소화전 사용법을 모르면 사용할수없습니다. 그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일단 화재가 발생했을 시에 가장먼저 발신기를 쌔게 눌러줍니다. 그럼 화재를 경보하는 경종이 울리게되고, 주변인들에게 화재가 났다는것을 알릴 수 있습니다.그리고 안쪽을열어서 호수를 꺼내주고, 밸브를 열어서 화재를 진압하면 됩니다.옥내소화전 자동방식 수동방식옥내소화전은 배관에 있는 물이 자동기동방식이있고, 수동기동방식이 있습니다. 자동기동방식은, 배관내 물과 압력이 계속 차 있는 형태로, 압력이 빠지면 펌프가 자동으로 기동하는 방식입니다.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설비입니다.하..

소방기계 2024.11.17

동탄 스프링클러 공사 (상향식, 하향식 상하향식)

이번글에서는 리모델링 현장의 소방공사입니다.리모델링현장의 소방공사리모델링 현장에서는 천장을 마감을 하거나, 있는 천장을 뚫어버리거나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시설에 맞춰서 그때에 맞춰서 소방시설 공사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이번현장은 상향식, 하향식 그리고 상하향식의 스프링클러 설비가 모두 들어간 현장입니다.기존 신축배관 스프링클러 철거한 면은 천장을 오픈하는 현장이었고, 나머지 다른 면은 천장을 마감하는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천장을 오픈하는 곳은 상향식 스프링클러로 교체를 해줘야 하고, 그렇지 않은 천장을 마감하는 곳은 하향식 스프링클러인, 신축배관으로 마감을 해줘야 했습니다.물론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배관에 있는 물을 퇴수 해줘야 합니다.스프링클러 배관의 물 퇴수소방 스..

소방전기 2024.11.15

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 패키지 공사

한소방입니다.이번글에서는 캐비넷형 간이스프링클러 설치공사를 하였습니다.간단하게 끝나는 공사가 아니라, 며칠씩 걸리는 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 패키지 1대에 기본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30개 정도 들어가니, 배관까지 하면 빠르면 일주일에 공사가 끝이 나고, 조금 더 걸려서 공사가 끝날수도 있습니다.이번에 지하 사격장에 스프링클러 패키지를 설치했습니다. 현장 한번 보겠습니다.캐비넷형 간이 스프링클러란?캐비넷형 간이스프링클러는 캐비넷에 물통이 있고, 캐비넷에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작은 펌프가 있는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입니다. 작은 기계실이 같이 있는 스프링클러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수조, 펌프, 압력스위치 등 여러 가지 기계실 장비들이 간소화되어서 이렇게 캐비넷형으로 나온 간이스프링클러 설비를 말합니다...

소방공사 2024.11.14

화재감지기 설치기준 연기감지기, 차동식감지기, 정온식감지기

감지기의 종류감지기의 종류는 크게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이렇게 두가지로 나뉜다. 연기감지기는 광전식 불빛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이고, 열 감지기는 온도에 반응을 하여 화재를 감지하는것이다. 그럼 이 두가지,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을 알아보자연기감지기 설치기준연기감지기는 연기가 들어올수있도록 이렇게 구멍이 잘 나있는 형태를 갖고있다. 안쪽에서 빛을 굴절시키는데 그 빛이 굴절이 잘 되지않으면 화재로 인식하여, 경보를 발한다.설치장소는 다음과 같다.계단, 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복도 30m 미만 제외엘리베이터 승강로(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장소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20m 미만인장소다음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취침 숙..

소방전기 2024.11.13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패키지, 캐비넷형 스프링클러 설치대상, 설치기준

간이스프링클러 설비란?간이스프링클러 설비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되, 스프링클러 설비에 비하여 간단하게 약식으로 설치하는 설비의 개념이 간이 스프링클러이다.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에 해당되고, 화재 시 즉시 소화가 가능한 설비이다.간이스프링클러 종류이러한 간이스프링클러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라서 규정이 맞게 설치를 해야한다.상수도 직결형 간이스프링클러펌프 등의 가압송수장치를 이요한 간이스프링클러가압수조를 이용한 간이스프링클러.고가수조를 이용한 간이스프링클러 설비.압력수조를 이용한 간이스프링클러 설비캐비넷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이렇게 대표적으로 6가지 정도가 간이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류이다.이번글에서는 캐비넷형 간이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해서 알아보자간이스프링클러 설치대상이는 캐..

소방기계 2024.11.10

무선통신 보조설비 설치기준, 설치제외

무선통신 보조설비란?무선통신보조설비는 화재 시 소방관 상호 간의 원활한 무선통화를 위해 사용되는 설비이다.무선통신 보고설비의 구성요소는, 누설동축케이블, 분배기, 무선기기 접속단자 이렇게 3가지가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보조설비, 설치기준을 알아보자.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설치기준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금속판 등에 의하여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누설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 또는 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 일 것. 1대 1로 케이블과 안테나가 연결되야 한다.누설동축케이블은 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고압전로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누설동..

소방전기 2024.11.09

감지기 배선 방식, 송배전식, 교차회로방식

감지기의 회로는 복잡한 것 같지만 복잡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화재감지기는 일반 AC전기를 사용하는 전등과 달리, DC 전원이 들어간다. DC 24V의 전원이 들어가며, 선은 4가닥이다. 이러한 4가닥의 선이 감지기를 모두 돌아서 나오는 형태로 이루어져야지 감지기 결선이 잘 된 것이다.그럼 이러한 감지기의 배선방식 2가지를 알아보자1. 송배전식송배전식의 정의는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선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는 방식이다. 즉 한 배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방식이 송 배전식이다. 총 2가닥의 배선이 모든 감지기를 통해서 돌아나와서 2가닥으로 나오는 방식, 배선은 루프 형태로 배선을 돌릴수 있는감지기는 2선씩 들어가지만, 그렇지 않는 곳은  왔다가 돌아가는 2가닥의 배선이 있기 때문에, ..

소방전기 2024.11.04

동탄 소방공사, 스프링클러 교체, 화재 감지기 이설공사

안녕하세요.한소방(한국소방시설공사관리) 입니다.이번글에서는 가장많이 하는 소방공사, 인테리어 소방공사 진행현장을 포스팅하겠습니다.그럼 현장부터 보겠습니다. 스프링클러 하향식 교체인테리어 공사의 내용은 주방에 가벽이 처지는 공사이고, 기존에 천장이 마감되지 않은곳에서, 천장이 마감이되어 반자가 생기는 곳이었습니다.기존의 공간에는 천장이 마감이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는 상향식으로 세워져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천장을 마감하는경우 상향식 스프링클러를 그대로 방치하면 안됩니다.스프링클러 설치기준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상식적으로 이렇게 스프링클러 아래로 천장이 마감이 되는데, 상향식으로 그냥 방치하는경우는 없습니다.(간혹가다가 그러는 경우를 본적은 있습니다)하지만 기본적으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

소방공사 2024.10.14

화재수신기 설치기준 P형수신기 R형수신기 비교

화재수신기란?수신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수신기는 화재감지기나, 발신기의 신호를 공통신호 또는 고유신호로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관계인에게 통보하는 기구이다. 왼쪽은 고유신호로 화재발생이나 다른 신호들을 감지하는 R형수신기, 오른쪽은 공통신호로 수신하는 P형 수신기이다. P 형수신기의 기능화재표시 작동시험장치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의 도통시험장치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자동절환장치예비전원 양부시험장치전화연락장치이외에도 펌프의 동작 관련 확인, 템퍼스위치의 단락유무 등 일반적인 소방시설에 대한 감시기능을 모두 할 수가 있다. R형 수신기의 기능화재표시 작동시험장치수신기와 중계기 사이의 단선, 단락, 도통시험장치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자동절환장치예비전원 양부시험장치기록장치지구등 또는 적당한 표시장치이와같이 P형수신기..

소방전기 2024.09.30

포소화설비의 농도, 팽창비 포소화설비란?

포소화설비란?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는 소화효과가 작거나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 액체 등의 화재에 사용하는 설비이다. 주로 발전기실 엔진펌프실 전기케이블실 변압기실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공장창고, 항공기 격납고 등에 사용된다. 포 수용액, 포원액 물의 관계1. 포수용액이란 소화수(물)에 포원액을 첨가하여 소화력을 증가시킨 것이다.2. 포수용액과 포원액, 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포수용액*농도=포원액포수용액*(1-농도)=물포소화약제의 농도 및 팽창비포소화약제의 농도는 포원액의양/포수용액의양 * 100 = 포원액의양/(포원액+물)의양 * 100팽창비 : 최종 발생한 포의 체적을 원래 포수용액의 체적으로 나눈 값팽창비(발포비율) 방출 후 포의 체적/방출 전 포..

소방기계 2024.09.23